한국사 교육과 문화유산
일 시 : 2011년 9월 29일(목) 오전 10시~오후 6시
장 소 : 국립고궁박물관 강당
개 회 : 진경환(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장)
축 사 : 김봉건(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사 회 : 장헌덕(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기조 발제(10:10-10:40) : 한국사 교육과 문화유산
이배용(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
제1부 : 한국사 교과서는 문화유산을 어떻게 다루고 있나?
[1] 역사(10:40-11:10) : 이도학(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 교수) 토론 : 윤명철(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2] 사상(11:10-11:40) :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교양교육원 교수) 토론 : 조성산(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3] 미술(11:40-12:10) : 박계리(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토론 : 정연심(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
점심 식사(12:10-14:00)
제2부 : 한국사 교육에서 문화유산은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까?
[1] 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문화유산 교육(14:00-14:30)
김기봉(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토 론 : 강상순(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2] 통일을 대비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14:30-15:00)
박재영(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 연구교수)
토 론 : 정영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학전공 교수)
[3] 중국의 문화유산 교육(15:00-15:30)
정준호(서울디지털대학교 정치법무행정학부 교수)
토 론 : 천진기(국립민속박물관장)
휴식(15:30-16:00)
제3부 : 종합토론(16:00-18:00)
좌장 : 최공호(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