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지침 The Associatio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韓國史硏究』 투고 지침

 

1. 투고 방법 및 원고 분량 

1) 본 학회지에 논문 투고를 희망하는 연구자는 투고 지침에 맞추어 작성된 원고를 학회 홈페이지(www.hanguksa.org) 온라인투고란을 통해 제출한다.

2) 투고 자격은 본 학회 회원으로 제한하되,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을 조건으로 투고할 수 있다.

3) 본 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한 후 1년 이내에 논문을 다시 투고할 수 없다(, 기획논문, 비평논문, 서평은 제외)

4) 원고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 일반논문비평논문은 100~150, 서평은 50매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5) 일반논문비평논문의 분량이 200자 원고지 기준 150매를 초과할 경우 초과 게재비(원고지 1매당 3,000)를 징수하되, 최대 250매를 초과할 수 없다.

6) 온라인 논문 제출 시 KCI문헌유사도검사를 진행한 후 결과 파일을 함께 제출한다. 유사율이 높은 경우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접수를 반려할 수 있다. , 학위논문을 수정하여 제출하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7) 온라인 논문 제출 시 저작권 이양동의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며, 논문의 게재와 함께 논문의 저작권을 학회에 이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 필자의 사용권은 인정한다.

 

2. 원고 작성 지침 

1) 원고는 한글 작성을 원칙으로 한다.

한자나 외국어 표기가 필요한 경우 첫 번째에 한하여 괄호 속에 병기한다.

인용문은 한국어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 원문의 제시가 필요한 경우 한문이나 외국어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주에서는 한자나 외국어 표기를 노출시킨다.

중국 인명의 경우, 1911년 신해혁명 이전의 인물은 한자의 한국어 발음으로, 그 이후의 인물은 중국어 발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투고 원고에는 필자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3) 심사를 거쳐 게재가 확정된 원고에는 첫 번째 각주 위에 투고자의 소속 및 직위, 대표논저(2편 이상)를 기재한다.

4) 학위 논문이나 학위 논문의 일부를 게재하는 경우, 학술대회 등을 통해 이미 발표한 원고를 게재하는 경우 그 사실을 필자 소개 위에 기재한다.

5) 논문의 본문 중에 인용하는 저자 이름 뒤에 붙이는 존칭(: 선생, 교수, 박사 등)은 일체 생략한다.

6) 원고는 ᄒᆞᆫ글 2010 이상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나머지 원고 작성 방법은 󰡔한국사연구󰡕 최근호를 따른다.

 

3. 논문의 체제 

1) 목차

장은 I. . ., 절은 1. 2. 3., 항은 1) 2) 3)으로 기재한다.

머리말과 맺음말에도 번호를 붙인다.

2) 표와 그림

표는 표의 위에 번호와 제목, 단위를 달고, 표 아래에 전거를 밝힌다.

보기) <1> 18세기 쌀값 변동의 추이(단위 : )

그림은 그림의 아래에 번호와 제목을 달고, 출처를 밝힌다.

보기) <그림 1> 영락갑오친시방(永樂甲午親試榜), 문화재청 사진 제공

3) 각주

인용문의 전거는 각주에서 밝힌다.

전자 자료를 인용하는 경우, 전자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과 자료명칭 등을 기재하고, URL과 접속일자를 표기한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4. 각주 표기 방식을 참조한다.

4) 주제어·참고문헌·초록

논문의 맺음말 뒤에 한글 주제어 5~10개를 기재한다.

한글 주제어 뒤에 주요 참고문헌의 목록을 첨부한다. 참고문헌은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명, 책명 또는 잡지명, (출판지역), 출판사명순으로 기재한다.

참고문헌 목록 다음에 180단어 안팎의 영문 초록을 첨부한다.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국립국어원 제정 국어의 로마자표기법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영문 초록의 말미에 영문 주제어(key word) 5~10개를 기재한다.

참고문헌과 영문 초록의 분량은 전체 원고 분량에 포함된다.

 

4. 각주 표기 방식 

1) 출전 표기 순서

논문 및 저서의 출전은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명, 책명 또는 잡지명(권수, 호수), 출판지역, 출판사명, 인용면수의 순서로 기재한다.

, 출판지역이 국내인 경우 생략 가능하다.

전자 자료의 경우, “저작권자, 자료명, 웹사이트명(인터넷주소), 자료의 최종 확인 날짜순서로 기재한다.

 

2) 저자

인용 서적이 편서일 경우 편자의 이름 뒤에 ’, 구미어 편서의 경우 ‘ed.(편자가 복수인 경우 eds.)’를 표기한다.

번역서의 경우, 원저자 이름 등 원서의 서지사항을 표기한 뒤 괄호를 한 후 역자명 등 번역서의 서지사항을 표기한다.

보기) E. H. Carr, (한국사연구회 역, )

 

3) 출판연도

저자명 다음에 표기하고, 초판이 아닌 경우에는 연도 다음에 자를 더하거나 책명 뒤에 괄호로 개정판임을 명시한다.

출판연도가 2년 이상인 경우는 연도 사이에 가운데 점()을 표기한다.

보기) 한국사연구회, 197819791980, 한국사입문()()(), 출판사

 

4) 논문명, 책명, 잡지명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로 된 논문명은 원어를 사용하여 작은 겹낫표(「 」)로 묶고, 책명잡지명은 큰 겹낫표(『 』)로 묶는다.

구미어로 된 논문명은 “ ”로 묶고, 책명잡지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논문명과 책명(잡지명) 사이에 쉼표(,)를 찍지 않는다.

논문이나 책의 부제는 - -사이에 표기한다.

보기) 저자명, 1990, 논문명부제-」 『책명부제-』, 출판사, 인용면수.

, 구미 논저의 부제는 콜론(:)으로 표기한다.

책의 편자나 공저자를 명시할 경우, 책명 뒤에 괄호로 묶는다.

보기) 저자명, 1990, 논문명」 『책명(한국사연구회 편), 출판사명, 인용면수.

인용 한문원전의 권수를 표기할 경우, 권수 뒤에 쉼표를 찍는다.

보기) 仁祖實錄18, 인조 613일 을축

잡지나 저서의 권수, 호수, 집수, 통권수 등은 아라비아 숫자로만 표기한다.

보기) 3, 3, 통권3 3

12권의 212-2

 

5) 출판지역 및 출판사

출판지역 및 출판사의 표기는 책명 뒤에 쉼표를 하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출판지역이 국내인 경우 생략 가능)

보기) 한국사입문, 한국문화사

朝鮮史入門, 東京: 日本書店

고서(고문서)의 영인 출판사 및 연도, 소장처 및 도서번호 등은 괄호 안에 표기한다.

보기) 李昆洙, 壽齋遺稿』 「書啓(소장처, 도서번호)

三國遺事高麗大 晩松文庫本(영인 출판사, 연도)

 

6) 인용면수

면수 뒤에 을 붙인다.

여러 면이 계속 인용된 경우, 시작 면수와 끝 면수 사이에 물결표()를 표기한다.

서로 떨어져 있는 둘 이상의 면이 인용된 경우, 면수 사이에 쉼표를 하고 끝에 을 붙인다.

보기) 3, 1518

한문 고서의 앞뒷면은 앞면뒷면으로 표시한다.

구미 논저의 면수 앞에는 ‘p.’ 또는 ‘pp.’를 붙인다.

 

7) 반복 인용

앞에서 인용했던 문헌은 반복을 피하여 바로 위의 것은 위 책”, “위 논문으로, 바로 위가 아닌 더 앞에서 인용한 것은 저자명과 연도를 표시한 뒤에 앞 책”, “앞 논문등으로 표기한다.

구미 논저가 반복 인용된 경우는 ibid. 또는 op. cit. 등으로 표기한다.

 

8) 재수록

동일 연구자의 다른 논문이나 책을 열거할 경우, 세미콜론(;)으로 연결한다.

보기) 저자명, 1971, 논문명」 『책명(잡지명); 1989, 책명, 출판사, 면수

 

9) 사료 원문 인용

사료 원문을 직접 인용할 경우, “ ”로 묶는다.

보기) 續大典刑典 禁制 咸鏡道富寧以北 商賈入居者 以制書有違律論 勿論犯禁與否 竝禁斷 而興販之物 沒官

 

10) 기타

각주가 문장형(이다, 한다, 하라 등)으로 끝날 경우, 마침표를 찍는다.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중복 표기할 경우, 바깥 괄호는 중괄호([ ])로 표기한다.

보기) 라고 이해한다[저자명, 1997, 논문명」 『책명(한국사연구회 편), 면수].

 

11) 각주 표기의 보기

한국중국일본문헌

洪以燮, 1971, 韓國史에 있어 二十世紀前半期規定問題」 『東方學志12, 308319

한우근, 1971, 東學亂 起因에 관한 硏究社會的 背景三政紊亂을 중심으로-』, 서울대 韓國文化硏究所, 199

김정배, 2006,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한국고대사입문 1한국 문화의 기원과 국가형성-』(김정배 편), 신서원, 1739쪽 참조

徐揚杰, 1995, 宋明家族制度史論, 北京: 中華書局, 151쪽을 참조하라.

旗田巍, 1972, 朝鮮中世社會史硏究, 東京: 法政大學出版局, 3049

한문고서

太祖實錄2, 원년 9丙申(탐구당, 1979) 30앞면

高麗史76, 百官志1 門下府(아세아문화사, 1983) 656뒷면

구미문헌

Eberhard, W., 1952. Conquerors and Rulers: Social Forces in Medieval China, Leiden: E. J. Brill, pp.117

P. A. Cohen, 1967. “Wang Tao and Incipient Chinese Nationalist" Journal of Asian Studies 26-4, p.559

전자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2018125

국사편찬위원회, 근현대신문자료,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2018121

PC버전 보기